본문 바로가기
세상읽기

코로나19 때 여성이 남성보다 배 이상 '우울 집단'에 속할 가능성 높았다

by 어머니의 꽃 2023. 1. 6.
코로나 19가 기승을 부리는 동안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남성보다 배 가까이 높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에 취약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6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중앙보훈병원 가정의학과 연구진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가 수행한 '2019∼2020년 한국 복지패널 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8929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와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해당 논문은 '20세 이상 성인에서 COVID-19 관련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복지패널 2019∼2020년 조사를 바탕으로'라는 제목으로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진은 역학조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우울 증상 평가(CES-D) 점수가 16점 이상이면 우울 집단, 16점 미만이면 비(非)우울 집단으로 나눴다. 그 결과 코로나19 유행 이후인 2020년에 우울 집단으로 평가된 비율은 전체의 9%(827명)이었다.
코로나19가 퍼진 이후 여성이 우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은 남성의 두 배로 파악됐다. 특히 미혼인 성인이 우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은 기혼 성인보다 1.7배 높았다. 또 이혼이나 사별, 별거 등의 이유로 배우자 없이 혼자 사는 성인이 우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은 배우자와 함께 사는 성인보다 1.6배 높았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여성이나 1인 가구 등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에 취약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며 “코로나19 이후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사회적 거리 두기로 많은 직장이 재택근무를 확대해 가족과 보내는 절대적 시간이 늘어난 데다 보육시설의 휴원으로 돌봄 부담이 커져 가족 간 갈등이 심화됐기 때문으로 여겨진다”고 언급했다.
앞서 지난 2021년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코로나 19가 확산된 이후 전 세계인의 우울 유병률이 배가량 높아졌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특히 당시 우리나라는 우울감과 우울증 진단 비율이 36.8%로 15개 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2021년 3월 국내에서 실시한 ‘코로나 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서도 우울의 평균 점수가 2018년 조사 때보다 배 이상 높았다. 특히 20∼30대 여성이 우울 위험 그룹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신문 염창현 기자-2023년 1월 6일